본문 바로가기
주식, 경제 트렌드

🚗 폭스바겐 주가, 왜 이래?? 트럼프발 관세폭탄의 진짜 이유!

by 증권사 출신 경영대 겸임교수 2025. 2. 20.

최근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습니다. 바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25% 자동차 관세' 발언 때문입니다.

 

이 소식에 폭스바겐, 벤츠, 르노 등 유럽 자동차 주가가 줄줄이 하락했는데요.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

 

트럼프의 폭탄 발언, 무슨 내용?

💥 트럼프의 폭탄 발언, 무슨 내용?

 

19일(현지시간), 트럼프 전 대통령이 수입차 관세를 25% 수준으로 올릴 것이라는 발언을 내놨습니다. 이에 따라 유럽 증시에서 자동차 관련 주가가 일제히 급락했죠.

  • 폭스바겐 -2.83% ⬇️
  • 벤츠 -1.66% ⬇️
  • 르노 -2.40% ⬇️

일본 도요타(-2.16%), 다국적 자동차기업 스텔란티스(-2.11%)도 동반 하락했습니다.

 

 

💼 한국 자동차 업계도 흔들

우리나라 자동차 주가도 바로 반응했습니다.

  • 현대차 전날 +1.75% 상승 → -0.98% 하락 ⬇️
  • 기아 전날 +1.17% 상승 → -1.26% 하락 ⬇️

하루 만에 상승분을 반납하며 투자자들이 긴장하는 모습입니다.

 

📊 왜 이렇게 민감하게 반응했을까?

 

트럼프의 관세 발언이 왜 이렇게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을까요?

  1. 미국 시장 의존도 높음: 현대차의 북미 매출 비중은 약 29%, 기아도 28% 수준입니다.
  2. 현지 생산 비율 부족: 현대차는 미국에서 91만 대를 팔았지만 현지 생산은 35만 대에 그쳤습니다. 기아도 79만 대 중 35만 대 생산입니다. 관세가 현실화되면 수출 물량에 타격이 불가피합니다.

🌎 글로벌 자동차 무역흑자 1~4위 국가 (대미 기준)

  1. 멕시코: 411억 달러(약 59조 원)
  2. 일본: 354억8천만 달러(약 51조 원)
  3. 한국: 328억9천만 달러(약 47조 원)
  4. 독일: 151억4천만 달러(약 21조 원)

한국은 미국 자동차 수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관세 인상은 우리 기업에 치명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한국은 미국 자동차 수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관세 인상은 우리 기업에 치명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 포드는 오히려 상승? 이유는?

 

재미있는 점은 미국 완성차 업체 포드 주가는 +0.54% 상승했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 미국에서 생산해 파는 내수 비중이 높기 때문입니다.
  • 해외 경쟁사에 관세 장벽이 생기면 포드 같은 미국 회사는 오히려 반사이익을 볼 수 있습니다.

🤔 앞으로 어떻게 될까? 투자자 유의사항

 

  1. 트럼프 당선 여부 관건: 트럼프가 대통령에 복귀하게 되면 실제 관세 부과 가능성 증가
  2. 현지 생산 확대 여부 주목: 현대차와 기아 등은 미국 내 생산능력 확대에 더욱 속도를 낼 가능성이 큽니다.
  3. 단기 변동성 주의: 미국 대선과 무역 정책 변수에 따라 자동차 관련 주가는 당분간 민감하게 출렁일 수 있습니다.

🚨 결론적으로, 미국 시장 비중이 높은 현대차·기아 등 자동차 주식 보유자라면 향후 트럼프 행보에 촉각을 곤두세울 필요가 있겠습니다.

 

 

📢 해시태그

#폭스바겐주가 #트럼프관세 #현대차주가 #기아주가 #수입차관세 #자동차주식 #미국대선 #유럽증시 #글로벌자동차시장 #트럼프리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