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습니다. 바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25% 자동차 관세' 발언 때문입니다.
이 소식에 폭스바겐, 벤츠, 르노 등 유럽 자동차 주가가 줄줄이 하락했는데요.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
💥 트럼프의 폭탄 발언, 무슨 내용?
19일(현지시간), 트럼프 전 대통령이 수입차 관세를 25% 수준으로 올릴 것이라는 발언을 내놨습니다. 이에 따라 유럽 증시에서 자동차 관련 주가가 일제히 급락했죠.
- 폭스바겐 -2.83% ⬇️
- 벤츠 -1.66% ⬇️
- 르노 -2.40% ⬇️
일본 도요타(-2.16%), 다국적 자동차기업 스텔란티스(-2.11%)도 동반 하락했습니다.
💼 한국 자동차 업계도 흔들
우리나라 자동차 주가도 바로 반응했습니다.
- 현대차 전날 +1.75% 상승 → -0.98% 하락 ⬇️
- 기아 전날 +1.17% 상승 → -1.26% 하락 ⬇️
하루 만에 상승분을 반납하며 투자자들이 긴장하는 모습입니다.
📊 왜 이렇게 민감하게 반응했을까?
트럼프의 관세 발언이 왜 이렇게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을까요?
- 미국 시장 의존도 높음: 현대차의 북미 매출 비중은 약 29%, 기아도 28% 수준입니다.
- 현지 생산 비율 부족: 현대차는 미국에서 91만 대를 팔았지만 현지 생산은 35만 대에 그쳤습니다. 기아도 79만 대 중 35만 대 생산입니다. 관세가 현실화되면 수출 물량에 타격이 불가피합니다.
🌎 글로벌 자동차 무역흑자 1~4위 국가 (대미 기준)
- 멕시코: 411억 달러(약 59조 원)
- 일본: 354억8천만 달러(약 51조 원)
- 한국: 328억9천만 달러(약 47조 원)
- 독일: 151억4천만 달러(약 21조 원)
한국은 미국 자동차 수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관세 인상은 우리 기업에 치명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 포드는 오히려 상승? 이유는?
재미있는 점은 미국 완성차 업체 포드 주가는 +0.54% 상승했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 미국에서 생산해 파는 내수 비중이 높기 때문입니다.
- 해외 경쟁사에 관세 장벽이 생기면 포드 같은 미국 회사는 오히려 반사이익을 볼 수 있습니다.
🤔 앞으로 어떻게 될까? 투자자 유의사항
- 트럼프 당선 여부 관건: 트럼프가 대통령에 복귀하게 되면 실제 관세 부과 가능성 증가
- 현지 생산 확대 여부 주목: 현대차와 기아 등은 미국 내 생산능력 확대에 더욱 속도를 낼 가능성이 큽니다.
- 단기 변동성 주의: 미국 대선과 무역 정책 변수에 따라 자동차 관련 주가는 당분간 민감하게 출렁일 수 있습니다.
🚨 결론적으로, 미국 시장 비중이 높은 현대차·기아 등 자동차 주식 보유자라면 향후 트럼프 행보에 촉각을 곤두세울 필요가 있겠습니다.
📢 해시태그
#폭스바겐주가 #트럼프관세 #현대차주가 #기아주가 #수입차관세 #자동차주식 #미국대선 #유럽증시 #글로벌자동차시장 #트럼프리스크
'주식, 경제 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세(고대 경영 11학번, 컴퓨터학 복전)에 자산 80억! 파이어족 한정수 대표 프로필, 이력? (1) | 2025.02.24 |
---|---|
[백교수의 코스피 관찰기]문배철강 기업 분석: 철강 강자, 주가 상승의 숨은 비밀은? (1) | 2025.02.21 |